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제품 vs 상품 차이점은?

by B애플 2025. 9. 17.

제품과 상품, 명확한 차이점은?


'제품(製品)'과 '상품(商品)'은 일상생활에서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 의미에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제품'이 생산, 즉 '만들어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단어라면, '상품'은 유통, 즉 '사고파는 거래'에 중점을 둔 단어라는 점이 핵심적인 차이입니다.


생산의 결과물 '제품(製品)'


'제품'은 원재료를 투입하여 공정을 거쳐 만들어 낸 물건을 의미합니다. 한자 그대로 '만들 제(製)'와 '물건 품(品)'이 결합된 단어로, 생산의 결과물이라는 속성이 강합니다.

예를 들어, 한 자동차 회사가 여러 부품을 조립하여 자동차를 완성했다면 그 자동차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옷을 만들거나, 농부가 농작물을 수확했을 때 그것들은 각각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의 거래 대상 '상품(商品)'


반면 '상품'은 시장에서 돈을 받고 팔기 위해 내놓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장사 상(商)'과 '물건 품(品)'의 조합에서 알 수 있듯이, 상업적인 거래의 대상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앞서 예로 든 자동차 회사가 완성한 자동차를 판매하기 위해 가격을 책정하고 시장에 내놓는 순간, 그 '제품'은 '상품'이 됩니다. 즉, 모든 제품이 상품이 되는 것은 아니며, 판매를 목적으로 시장에 나왔을 때 비로소 상품의 자격을 갖추게 됩니다.

기업 회계에서의 명확한 구분


이러한 차이는 특히 기업의 회계 처리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제조업체: 직접 물건을 만드는 회사의 경우, 완성된 물건은 '제품'으로 회계 장부에 기록됩니다. 그리고 이 제품이 팔렸을 때 '제품 매출'이 발생합니다.

유통업체: 다른 회사로부터 물건을 사 와서 판매하는 회사의 경우, 사 온 물건은 '상품'으로 기록됩니다. 그리고 이 상품이 팔리면 '상품 매출'이 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직접 만든 스마트폰은 삼성전자에게 '제품'입니다. 하지만 이 스마트폰을 SK텔레콤이 사들여 소비자에게 판매한다면, SK텔레콤에게 그 스마트폰은 '상품'이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같은 줄 알았떤 상품과 제품이 회계상에는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티스토리 아이디로 댓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