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T-money)와 이즐(ezl, 구 캐시비)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은 물론 편의점, 카페 등 다양한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카드 모두 선불 충전 방식으로 운영되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운영사, 사용처, 그리고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에서 몇 가지 차이점을 보입니다.
티머니 vs 이즐 차이점
둘은 비슷하면서 조금씩 다른데요.
구분 | 티머니 (T-money) | 이즐 (ezl) |
운영사 | ㈜티머니 (서울시의 정책을 많이 반영) |
㈜이동의즐거움 (과거 롯데그룹 소속)
|
주요 사용 지역 | 수도권에서 압도적인 사용률 |
부산, 경남 등 영남권에서 높은 점유율
|
온라인 사용 | 온라인 결제 가맹점 다수 확보 |
상대적으로 온라인 사용처가 적음
|
마일리지 | T마일리지 (대중교통 이용 시 적립) |
L.POINT 제휴 (과거, 현재는 축소)
|
특화 서비스 | 기후동행카드, 택시 QR결제 등 |
K-패스 연계 혜택, 일부 카드 IC칩 결제
|
티머니는 기후동행카드, K패스는 이즐로 연계 혜택이 많습니다.
카드사 지원은 티머니가 좀 더 많구요.
농협/현대나 신한체크. 하나 체크가 이즐 지원안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주요 생활 반경과 소비 패턴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수도권에 거주하며 온라인 결제를 자주 이용한다면 티머니가, K-패스 혜택을 극대화하고 싶거나 IC칩 결제의 편리함을 원한다면 이즐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바라보며 (0) | 2025.09.29 |
---|---|
갤럭시 S25 내 번호 확인하는 방법 (0) | 2025.09.27 |
카카오톡 이전 버전으로 원복하는 방법(카톡 다운그레이드) (1) | 2025.09.26 |
제품 vs 상품 차이점은? (0) | 2025.09.17 |
해커조직 ‘스캐터드 랩서스$’, SK텔레콤 해킹 주장 (0) | 2025.09.16 |
티스토리 아이디로 댓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