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배드민턴 셔틀콕 뒤에 숫자의 비밀 77, 78

by B애플 2025. 4. 23.
반응형

 

배드민턴 셔틀콕에서 숫자 77, 78은 셔틀콕의 속도(Speed) 또는 온도 등급(Temperature Grade)을 나타냅니다. 이 숫자는 주로 천연 깃털 셔틀콕에 사용되며, 셔틀콕이 날아가는 거리에 영향을 줍니다.

배드미턴 셔틀콕 77 vs 78 차이

배드민턴 셔틀콕 통에보면 77 78이 적혀져 있는데요.
바로 강산연 통에도 이렇게 77과 78이 적혀져 있습니다.
 
이는 스피드인데요. 일반적으로 74~79까지 적혀져 있고, 국내에는 77 또는 78이 대부분 수입됩니다.

 



 

속도 느림 빠름
비행 거리 짧음
적절한 기온대 따뜻한 지역 (22~28도) 추운 지역 (15~22도)
공기 밀도 고려 기온이 높아 공기 밀도가 낮을 때 기온이 낮아 공기 밀도가 높을 때

🧊 왜 이게 중요할까?

  • 기온이 낮으면 공기 밀도가 높아져 셔틀콕이 잘 안 날아갑니다. → 그래서 빠른 셔틀(78)을 써야 같은 거리를 날 수 있음.
  • 기온이 높으면 공기가 얇아져 셔틀콕이 더 멀리 날아갑니다. → 그래서 느린 셔틀(77)을 써야 코트를 벗어나지 않음.

여기에 이 숫자는 찾아보니 'Grain(그레인)'이라는 무게의 단위라고 합니다.

◈ 1 grain(그레인) = 0.0648 g(그램)
▶ 77 x 0.0648 = 4.9896g (위의 표의 무게 참조)​

그래서 조금 더 무겁기 때문에 셔틀이 조금더 멀리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 어떤 걸 써야 할까?

즉 한국 여름에는 77이 적혀져 있는 셔틀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셔틀콕 생김새만 가지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 실내 온도가 23도 이상: 77
  • 실내 온도가 20도 이하: 78

티스토리 아이디로 댓글을 남기시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